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부동산 관련 용어 : 물권 이해하기

by 부동산 코치 2025. 4. 4.

부동산 관련 용어

물권 이해하기


부동산에서 물권은 특정 부동산을 직접 지배하여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배타적 권리를 의미합니다. 이는 부동산과 관련된 권리 관계의 핵심으로, 소유권을 비롯한 다양한 권리 유형을 포괄합니다.

 

점유권

  • 설명: 물건을 사실상 지배하는 상태에 있는 사람이 가지는 권리입니다. 소유권이 없더라도 물건을 점유하고 있다면 점유권이 인정됩니다.
  • 예시: 임대차 계약이 만료되었지만, 세입자가 아직 집을 비우지 않고 있는 경우, 세입자는 해당 주택에 대한 점유권을 가집니다.

 

소유권

  • 설명: 물건을 사용, 수익, 처분할 수 있는 가장 완전한 권리입니다. 법률의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물건을 이용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예시: B씨가 상속받은 토지에 대해 B씨는 소유권을 행사하여 건물을 짓거나 팔 수 있습니다.

 

지상권

  • 설명: 타인의 토지에 건물이나 그 밖의 공작물 또는 수목을 소유하기 위하여 그 토지를 사용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.
  • 예시: A씨가 B씨의 토지를 빌려 건물을 짓고 그 건물을 소유하는 경우, A씨는 해당 토지에 대한 지상권을 설정합니다.
  • 예시: C씨가 D씨의 토지에 나무를 심어 그 나무를 소유하는 경우, C씨는 해당 토지에 대한 지상권을 설정합니다.

 

지역권

  • 설명: 자기 토지의 편익을 위하여 타인 토지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. 승역지(편익을 받는 토지) 소유자가 요역지(편익을 제공하는 토지)를 이용합니다.
  • 예시: A씨의 토지에 도로가 없어 H씨의 토지를 통행해야만 하는 경우, A씨는 B씨의 토지에 통행지역권을 설정하여 자신의 토지 편익을 위해 H씨의 토지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전세권

  • 설명: 타인의 부동산을 점유하여 사용·수익하고, 그 부동산 전부에 대하여 후순위 권리자보다 우선하여 보증금을 변제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. 주로 주택이나 상가 임대차에서 활용됩니다.
  • 예시: A씨가 B씨의 아파트를 전세 보증금 3억 원을 내고 2년간 거주하는 경우, A씨는 해당 아파트에 대한 전세권을 취득합니다. 계약 만료 시 A씨는 B씨에게 보증금 3억 원을 우선적으로 돌려받을 권리가 있습니다.

 

유치권

  • 설명: 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 변제될 때까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을 유치(점유하면서 반환을 거절)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.
  • 예시: 건설업자가 건물 공사를 완료했지만, 건축주가 공사비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, 건설업자는 공사비를 받을 때까지 해당 건물을 유치할 수 있습니다.

 

저당권

  • 설명: 채무자가 채무의 담보로 제공한 부동산에 대하여, 채무 불이행 시 그 부동산으로부터 우선적으로 변제를 받을 수 있는 권리입니다. 점유를 이전하지 않고 설정하는 것이 특징입니다.
  • 예시: A씨가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면서 자신의 아파트를 담보로 제공한 경우, 은행은 해당 아파트에 대한 저당권을 설정합니다. A씨가 대출금을 갚지 못하면 은행은 아파트를 경매에 넘겨 대출금을 회수할 수 있습니다.